CodeSpitz78 5/ OOAD와 테트리스 (2)

CodeSpitz78 5/ OOAD와 테트리스 (2)

목차

🌕🌑🌑

🔥 코드스피츠 수업을 수강하면서 복습한 내용을 정리했습니다.
아직 정리중..


1. Stage

Stage 클래스는 뭘 필요로 할까?


  1. 마지막 판이 몇 판일까? = 몇 판까지 있을까?
  2. 속도
    ** 판마다 속도가 증가한다.**
  • 최소 속도
  • 최대 속도

** 속도는 어떤 객체가 가져가야할까?**
- Game보다는 Stage가 적합.
- 캡슐화와 은닉화의 속성을 이용하여,
속도의 처리는 stage내에서만 처리하게 한 후,
외부에서는 최종 속도만 받을 수 있도록 한다. (getter)
- 초기 속도

  • 자기의 변화를 listener한테 통보하는 것으로 처리만 하고
    • listner의 형태를 직접 알 필요는 없게 한다.
1
2
// Object.assign 쓰기 번거로워서 함수 만들긔
const prop = (target, v) => Object.assign(target, v);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const Stage = class {
constructor(last, min, max, listener){
// last는 마지막 판
// min,max는 속도
// listener: 다른 객체와 관계를 맺지 않게 해주는 역할
// 게임 패널들의 스테이지 그래픽이 갱신을 위해서 listener를 달아줌.
prop(this, {last, min, max, listener});
}
clear() {
//초기화
this.curr = 0; // 현재 스테이지 넘버
this.next();
}
next() {
// 속도 비율 = 현재판 - 1 / 마지막 판 - 1
// 블럭 내려올 때 딜레이 속도 = (this.max - this.min) * (1 - rate);
// => 점점 작아진다. => 최종 속도는 빨라짐
if(this.curr++ < Stage.last) {
const rate = (this.curr - 1) / (this.last - 1);
this.speed = this.min + (this.max - this.min) * (1 - rate);
this.listener();
}
}
}

2. Score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const Score = class {
constructor(listener){
prop(this, {listener});
// 스코어의 그래픽을 갱신시키기 위해서 통보용으로 listener 추가
}
clear(){
this.curr = 0;
this.total = 0;
}
add(line, stage){
// line이 지워지는 갯수를 포인트 증가율
// stage 마다 line하나 지울때마다 점수가 다름
const score = ???;
this.curr += score; // 현재 점수값에도 반영
this.total += score; // 전체 점수값에도 반영
this.listener();
}
}


cf__1 역할, 책임, 협력

프로그래밍의 실체는 수행해야하는 job이 누구의 역할과 책임으로 넘어가야하는지를 의사결정하는 행위.

🍡 객체지향

객체지향에서는 컨텍스트라는 방법이 있다.
인스턴스별로 컨텍스트라는 유지한다. (컨텍스트: 인스턴스마다 고유하게 부여되어 있는 메모리).

**함수에서 값을 가져오는 방법 2가지. **

  1. 내가 인자로 값을 가져올지,
  2. 컨텍스트로 가져올지.

🍢 함수형 프로그래밍과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차이점.

  • 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는 자유변수를 통해서 함수를 유지한다.
  • 자유변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함수 생성이 필요하다. (클로저)
  • why? 함수가 태어날때 마다 자유변수로 인지하기 때문에.

🍭 객체지향을 통해서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만드는 행위를 함수형으로 바꾸면?

  • 필요한 자유변수를 함수를 만들어서 리턴하는 행위와 같다.
  • 그 함수가 컨텍스트 대신 자유변수로 해당 상태를 기억하고 있을테니까.
  • 객체지향에서 인스턴스의 수만큼 => 함수를 생성하는 걸로 함수지향으로 바꿀 수 있다.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const Score = class {
constructor(listener){
prop(this, {listener});
// 스코어의 그래픽을 갱신시키기 위해서 통보용으로 listener 추가
}
clear(){
this.curr = 0;
this.total = 0;
}
add(line, stage){
// score 계산을 위해서는 stage만 알 수 있는 값을 이용해야하기 때문에
// stage 내부에 score를 계산하는 책임을 주고,(위임)
// Score의 add함수에서는 score를 호출, 점수만 더하는 책임만 준다.(협력)
const score = stage.score(line);
this.curr += score; // 현재 점수값에도 반영
this.total += score; // 전체 점수값에도 반영
this.listener();
}
}
const Stage = class {
...
score(line) {
return parseInt((this.curr * 5) * (2 ** line))
}
}



스코어와 스테이지 간의 coupling 관계

현재는 약한 바인딩.
add 함수 호출시에만 임시적으로 외부 인자로 들어오기때문에

But,
하나의 게임 안에서는
스테이지와 스코어를 동시에 소유하고 바뀌지 않는다.

  • 게임에서의 스테이지 관리자와 스코어 관리자는 관계가 항구적. 즉, 게임이 진행되는 동안. 즉 매번 인자로 보내면 안된다.
  • 맥락상 맞지 않다는 말. stage를 add함수의 인자로 보낸다는 것은 스코어를 더 할때마다 임시적으로 바인딩한다는 것인데 이는 위의 항구적인 관계와 맞지 않음. (코드의 의미가 맞지 않음.)
  • 때문에 add의 인자가 아니라 컨텍스트 변수로 옮겨줘야한다.

도메인을 바라보고 어디 쪽의 역할이 맞는지 항상 의사결정을 해야한다.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const Score = class {
constructor(👉stage, listener){
prop(this, {stage, listener});
}
clear(){
this.curr = 0;
this.total = 0;
}
add(line){
const score = 👉this.stage.score(line);
this.curr += score; // 현재 점수값에도 반영
this.total += score; // 전체 점수값에도 반영
this.listener();
}
}
const Stage = class {
...
score(line) {
return parseInt((this.curr * 5) * (2 ** line))
}
}
score와 stage간의 의존성이 생김

코드는 여러분들이 모국어로 쓰지 않기 때문에
동작만 하면 다 똑같은 코드로 보인다.
코드도 언어이기 때문에 한국어의 미묘한 늬앙스를 다양한 형사와 동사로 표현하는 것처럼,
코드도 동작해도 표현방법에 따라서 늬앙스를 다 표현할 수 있다.


3. Block

클래스일까 인스턴스일까.

  • 찍어낼 수 있어야 한다. => 클래스
  • 부모클래스 >> 자식클래스

블럭 정의

  • 테트리스 블럭은 회전을 할 수 있다.
    회전축, 회전점을 정의하자. 세로와 가로의 모습을 보면 **2차원 배열**로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 보인다. (행과 열)

cf__2 연산은 데이터로 바꿀 수 있다.
데이터 하나로 연산화 시킴 or 데이터 2개로 연산비용을 낮춤.

  • 예전에는 머신이 낮고 메모리가 낮았기 때문에 연산을 중심으로 움직이고 메모리 비용을 낮추는 방향으로 갔음.
  • cpu 비용을 아끼고(연산비용을 줄이고) 메모리 비용을 사용하는 방향이 요즘 추세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// Block 클래스 : 카테고라이제이션 하는 중.. 
// => 모든 자식 블럭들이 공통으로 가져야하는 속성들
const Block = class {
constructor(color) {
prop(this, {color, rotate:0};)
}
// rotate: CW, CCW (시계방향, 시계반대방향 개념)
left() {
if(--this.rotate < 0) this.rotate = 3;
}
right() {
if(++this.rotate > 3) this.rotate = 0;
}
getBlock(){throw 'override!';}
}
const blocks = [class extends Block, ...]
1
2
3
4
5
6
7
8
9
10
11
12
class extends Block {
constructor(){
super('#f8cbad');
}
getBlock(){
return this.rotate % 2 ?
[[1], [1], [1], [1]] :
[[1,1,1,1]]
// [[1], [1], [1], [1]] 컬럼이 하나만 있는 row가 4개인 배열 : |
// [[1,1,1,1]] row가 하나만 있는 컬럼이 4개인 배열: ----
}
}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class extends Block {
constructor(){
super('#f8cbad');
}
getBlock(){
switch(this.rotate){
case 0: return [[0,1,0], [1,1,1]]
case 1: return [[1,0], [1,1], [1,0]]
case 2: return [[1,1,1], [0,1,0]]
case 3: return [[0,1], [1,1], [0,1]]
}
}
}

충분히 추상화가 되었을까?

rotation은 부모클래스인 Block에서 관리
자식이 부모의 속성을 갖는 것은 은닉을 깨고 있는 것

  • 부모 자식간에도 캡슐화와 은닉화가 성립해야한다.
  • this.rotate로 접근하고 있다.
  • this.rotate % 2 부모의 rotate 정의에 자식이 맞추고 있다.

    코드의 책임, 역할을 의인화 시켜서 생각하는 것이 좋다.

getBlcok()을 호출할 때마다 배열을 매번 생성하고 있다.

  • 컨텍스트 데이터가 되어야한다.

다시 개선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const Block = class {
constructor(color, ✨✨...blocks) {
prop(this, {
color,
rotate:0,
✨✨blocks,
✨✨count: blocks.length - 1 // 회전 카운트
};)
}
left() {
if(--this.rotate < 0) this.rotate = 3;
}
right() {
if(++this.rotate > ✨✨count) this.rotate = 0;
}
getBlock(){ ✨✨
// 클래스를 반환
return this.blocks[this.rotate];
}
}
const blocks = [
class extends Block {
constructor(){
super('#f8cbad',
[[1], [1], [1], [1]],
[[1,1,1,1]]
);
}
}
]

4. Renderer

렌더러는 stage, score, block을 몰라도, data만 알아도 되는 구조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const Renderer = class {
constructor(col, row){
prop(this, {col, row, blocks:[]});
while(row--) this.blocks.push([]);
}
clear(){throw 'override';}
// 자식이 클리어 해야한다.
// 대체가능성(상속성)과 내적동질성(다형성).
// 자식을 다 부모로 보게 하고 싶다.
// 어떤 자식이 와도 clear를 호출할 수 있다.
// 부모의 clear를 호출해도 내적동질성때문에 자식의 clear가 호출된다.
// 명시적으로 clear라는 method를 부모에 할당해주지만, 자식들이 렌더링 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실제 clear는 다형성에 의해서 자식들의 clear 메서드가 호출된다. == 무의미한 코드가 아니다.
render(data){
if(!(data instanceof Data)) throw 'invalid data';
// 프로토콜 확인만 해준다.
this._render(data);
// 내적동질성(다형성)에 의해서 자식의 _render가 호출된다.
// 디자인 패턴 중: 템플릿 메서드 패턴 (객체지향 언어가 내적동질성을 보장해주어야한다)
// 템플릿 메서드를 사옹하는 이유
// 부모쪽에 있는 메서드가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실제 할 일을 후킹하고 있는 자식클래스에게 위임하기 위해
}
_render(data){throw 'override!';}
}

Template Method Pattern
어떤 작업 알고리즘의 골격을 정의한다. 일부 단계는 서브 클래스에서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. 템플릿 메서드를 이용하면 알고리즘의 구조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특정 단계만 서브 클래스에서 새로 정의하도록 할 수 있다.

4-0. Data(protocol)

1
2
3
4
5
6
// Array를 상속 받는 이유는 형을 확인하기 위해 강제로 만듦.
// 마크업 클래스
// Array객체를 베이스로 하는 객체가 만들어진다.
const Data = class extends Array {
constructor(row, col){prop(this, {row, col});}
}

es6는 클래스 내부에서 this를 바꿔 줄 수 있다.

4-1. Table Renderer

1
2
3
4
// utility
const el = el => document.createElement(el);
const back = (s: pixel, v: color) => s.backgroundColor = v;
// 배경 색 변경으로 움직임을 표현한다.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const TableRenderer = class extends Renderer {
// base: 테이블 element
// back: background 칼라
constructor(base, back, col, row){
super(col, row);
this.back = back;
white(row--){
const tr = base.appendChild(el('tr')), curr = []; // row만큼 tr을 만들어서 넣기.
this.blocks.push(curr); // 빈 블럭 배열을 blocks에 넣어준다. this.blocks는 Renderer의 blocks
let i = col;
while(i--) curr.push(tr.appendChild('td').style);
// 스타일 객체만 넣는다.
}
this.clear();
}
clear(){
this.blocks.forEach(
curr => curr.forEach(s => back(s, this.back))
)
// back함수는 utility의 back
// back함수에 현재 back 칼라를 전부 할당한다.
}
_render(v: Data){
this.blocks.forEach(
(curr, row) => curr.forEach((s, col) => back(s, v[row][col]))
)
}
}

변수 사용시 한 번 밖에 사용되지 않는데 변수로 잡는 것은 사실은 중복


for와 forEach 중 어떤걸 사용할까?
언어스팩에서 정의되어있는 메서드를 사용하자. forEach
성능문제는 우선 고려하지 말자.

4-2. Canvas Renderer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const CanvasRenderer = class extends Renderer{
constructor(base, back, col, row){
suepr(col, row);
prop(this, {
width: base.width = parseInt(base.style.width),
height: base.height = parseInt(base.style.height),
cellSize: [base.width/col, base.height/row],
ctx: base.getContext('2d')
});
}
_render(v){
const {ctx, cellSize:[w, h]} = this;
ctx.clearRect(0, 0, this.width, this.height);
let i = this.row;
while(i--){
let j = this.col;
while(j--){
ctx.fillStyle = v[i][j];
ctx.fillRect(j *w, j*h, w, h);
}
}
}
}

참고자료
https://www.bsidesoft.com/?p=2827
https://github.com/abhbtbb/tetris1

📚